본문 바로가기
L I V | 베트남 들여다보기/일상

[베트남 주재원] 통장 만들기 & 카드 사용 팁

by machellin 2025. 4. 1.
반응형

 

베트남에서 살기 시작하면 처음에는 모든 게 낯설지만, 그중에서도 ‘금융 시스템’은 적응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립니다. 한국처럼 온라인으로 모든 걸 해결하긴 어렵고, 언어 장벽도 있죠. 특히 생활비 송금, 공과금 납부, 카드 결제 같은 일상적인 금융 활동을 하려면 현지 은행 통장과 카드가 꼭 필요하다는 걸 실감하게 됩니다.

 

외국인이 베트남에서 통장 만들기 , 어려울 것 같지만 생각보다 쉽습니다. 통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서류가 필요해요. 보통 아래 3가지를 준비하면 대부분의 은행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여권 (비자 포함)
임시 거주 등록 증명서 (Temporary Residence Certificate)
집 계약서 또는 회사 발행 확인서

 

저는 신한베트남은행에서 통장을 만들었는데, 한국어가 가능한 직원이 있어서 아주 수월했어요. 우리은행 베트남 지점도 한국인 친화적으로 잘 되어 있고, 지점이 호치민, 하노이, 빈증 등 주요 도시에 있어 접근성이 좋아요. 이 두 은행은 한국 계좌와 연동이 쉬워 송금이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한 편이라 많은 교민들이 선호합니다.

 

로컬이 주로 이용하는 곳(시장, 길거리 상점)에서 현금이 여전히 강세지만, 대형 마트, 편의점, 카페, 온라인 쇼핑 등에서는 카드 사용이 꽤 일반적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어떤 카드로 결제하느냐입니다.

 

한국 신용카드로 결제하면 해외 결제 수수료 + 환율 가산비용(1.5~3%)이 붙습니다. 반면, 현지 통장과 연결된 직불카드로 결제하면 수수료 없이 VND로 바로 빠져나가죠.

 

특히 장기간 거주하거나 자주 베트남을 오가는 사람이라면 한국 카드 대신 현지 카드를 주로 쓰는 게 훨씬 경제적입니다.


환율 손해를 줄이기 위한 몇 가지 방법도 정리해볼게요. 

 

송금은 신한은행, 우리은행 또는 Wise(와이즈) 활용해보세요. 신한/우리은행은 한국 계좌와 연결이 쉬워 송금이 빠르고 안정적입니다. Wise는 수수료가 낮고 환율도 실시간 시장가를 반영해 합리적이에요.

 

환전은 은행 또는 공인 환전소에서 하세요. 공항 환전소는 환율이 나쁜 편이라 가급적 피하고, 도심 은행 또는 우대율 높은 환전소를 이용하는 게 좋아요.

 

카드 결제 시 'VND'로 선택하세요. 가끔 카드 단말기에서 ‘KRW로 할지, VND로 할지’ 물어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반드시 VND(현지 통화)로 선택하세요. 원화로 결제하면 수수료가 더 붙어요.

 

생활비 정산은 월초에, 환율 우대시간대에 하세요.  환율은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뀌기 때문에 송금이나 환전은 오전 중 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많아요.

 

신한베트남은행이나 우리은행 앱은 한국어 지원이 잘 되어 있어 사용하기 편하고, Momo, ZaloPay, VNPay 같은 현지 간편결제 앱도 통장과 연동하면 생활이 아주 편해집니다. 택시, 커피숍, 공과금 납부까지 가능하니 현금 없이도 충분히 생활할 수 있어요.

 

베트남에서의 금융 생활, 생각보다 빠르게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한국 카드만 쓰다 보면 수수료 손해가 꽤 크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빠르게 현지 통장을 만들고 카드도 함께 발급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신한은행, 우리은행처럼 한국인에게 친화적인 은행을 선택하면 언어 스트레스 없이 훨씬 수월하게 적응할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