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새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이 전 세계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은 관세율이 무려 46%까지 책정되며, 갑작스러운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그동안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속에서 ‘우회 생산기지’로 주목받았던 베트남은 미국 수출이 급격히 늘어나며 수혜국으로 평가받아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발표는 상황을 180도 뒤바꿔놓았습니다. 당장 베트남 정부와 기업들은 비상 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베트남과 교역하거나 사업적 이해관계를 가진 국가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일단 베트남 현지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던 기업들의 타격은 불가피합니다. 의류, 신발, 전자제품, 가구 등 미국 시장 비중이 높은 산업들은 신규 계약이 중단되거나 가격 협상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기존 계약 물량은 단기간 안에 취소되지는 않기에 즉각적인 붕괴는 아니지만, 업계 전반의 긴장은 높아진 상황입니다.
또한 미국 기업과 베트남 기업 간의 공급망 재편도 고려되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내 소비자들도 고율의 관세로 인해 수입품 가격 인상을 체감하게 되면, 미국 내부에서의 소비 위축이나 인플레이션 우려로 연결될 수 있죠.

저에게 몇몇 질문들이 들어와 답해봤습니다. 참고해주세요!
Q. 환율과 물가, 어떻게 될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은 “환전을 지금 해두는 게 나을까?”, “물가가 급등하진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미국 관세가 부과되면 베트남의 수출이 감소하고, 달러 수입이 줄어들며, 자연스럽게 베트남 동(VND)의 약세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는 수입 원자재나 소비재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고, 전반적인 물가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위험 회피 차원에서 달러 보유를 늘리거나, 자산 방어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규모 혼란은 아닐 수 있지만, 유동성 확보와 일부 환전은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고려해볼 만한 선택입니다.
Q. 베트남의 대응과 외교적 움직임
베트남 정부도 즉각 대응에 나섰습니다. 최근 액화천연가스(LNG), 에탄올, 냉동 닭다리 등 여러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인하하며 ‘선제적 무역 조정’에 나선 것입니다. 또 미국과의 기술협력 확대, 스타링크(위성 인터넷) 도입 허가 등 전략적 친미 노력을 이어가고 있죠.
동시에 중국과 EU 지도자들을 초청하며 다변화 외교 전략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보는 단순히 무역 이슈를 넘어 베트남의 국제적 입지 확보 전략으로 읽히고 있습니다.
Q. 우리 입장에서는 어떻게 봐야 할까?
사실 이런 변화는 우리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 기업 중 베트남을 생산기지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은 원가 상승과 공급망 조정의 부담을 안게 됩니다. 또 베트남 현지에서 생활하거나 투자 중인 교민들 입장에서도 환율 및 물가 변동에 민감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차분하고 냉정한 대응입니다. 공포감에 휩쓸리기보다는,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각자 상황에 맞는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환전이든, 소비 패턴 조정이든, 사업 전략 수정이든 말이죠.
글로벌 경제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한 국가의 정책이 순식간에 여러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시대입니다. 이번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표도 그 한 사례일 뿐입니다. 앞으로 실제 관세 부과가 어떤 방식으로 적용될지, 베트남과 미국 간의 협상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정보에 기반한 판단입니다. 머리가 복잡해지는 요즘이지만, 상황을 선명하게 바라보고 준비하는 자세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 보입니다.
'L I V | 베트남 들여다보기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관세 이슈] 증시 5.8% 폭락한 베트남, '세계의 공장' 꿈 무너질까 (5) | 2025.04.03 |
---|---|
[트럼프 관세 이슈] 왜 베트남이 미국 관세 타깃이 됐을까? (0) | 2025.04.03 |
호치민 2군 타오디엔은 왜 고급 소비의 테스트베드가 되었나 (7) | 2025.04.02 |
베트남의 배달앱과 온라인 쇼핑 시장 분석 (4) | 2025.04.02 |
인건비는 오르고, 인력은 줄고… 베트남 생산 현장의 변화 (2) | 2025.04.02 |